비트코인, 이번엔 제대로 이해해보자 - Part 2: 공급, 수요, 그리고 가치는?
비트코인, 이번엔 제대로 이해해보자 - Part 1: 대체 뭘까?💰 비트코인 = 돈? 아니다, 혁명이다!비트코인을 단순히 "인터넷 돈"이라고 생각했다면 큰 오산이다. 사실 비트코인은 중앙은행도 없고,
jonathan-tech.tistory.com

💰 비트코인 = 디지털 금? 정말 그럴까?
비트코인이 "디지털 금"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간단하다. 희소성(발행량 제한, 2,100만개), 내구성(없어지지 않음), 이동성(전 세계 어디서든 사용 가능), 분할 가능성(작은 단위로 쪼갤 수 있음), 검열 저항성(누구도 막을 수 없음) 같은 속성 때문이다. 얼핏 보면 금과 똑같아 보인다.
하지만 차이점도 있다. 비트코인은 보관이 훨씬 쉽다. 금을 보관하려면 은행 금고나 집에 비싼 금고를 마련해야 하지만, 비트코인은 그냥 스마트폰이나 하드웨어 월렛에 저장하면 끝이다. 반면, 비트코인은 금보다 가격 변동성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하루에 몇 퍼센트씩 오르고 내리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금과 비교했을 때, 비트코인은 디지털 환경에서 더욱 자유롭고 효율적인 거래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금을 사고 팔려면 실물을 이동해야 하지만, 비트코인은 몇 초 안에 전 세계 어디로든 보낼 수 있다. 그러나 보관의 용이성과 이동의 편리함에도 불구하고, 안정성과 전통적인 신뢰의 측면에서 금과 비교해 아직 부족한 점이 있다.
그렇다면 정말 "디지털 금"이 될 수 있을까? 가능성은 크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가격 안정성과 대중적인 신뢰 확보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점점 더 많은 사람이 "비트코인은 가치 저장 수단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하기 시작했다.
💳 비트코인으로 커피 한 잔 사는 날이 올까?
비트코인은 원래 "은행 없이 누구나 직접 결제할 수 있는 돈"으로 설계됐다. 그런데 현실은 어떨까? 솔직히 말해서 지금 편의점에서 비트코인으로 삼각김밥을 사는 것은 어렵다. 그 이유는
- 거래 속도: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거래를 승인받으려면 시간이 걸린다. 때론 몇 분, 심하면 몇 시간까지 걸릴 수도 있다.
- 거래 수수료: 트래픽이 몰리면 수수료가 폭등한다. 몇천 원짜리 커피를 사려다가 몇만 원의 수수료를 내야 할 수도 있다.
- 확장성 문제: 현재 비트코인은 대량 거래를 감당하기 어렵다.
이 문제를 해결하려고 등장한 것이 라이트닝 네트워크이다. 이 기술을 활용하면 비트코인 거래를 오프체인에서 즉시 처리할 수 있다. 쉽게 말해, 비트코인을 마치 신용카드처럼 빠르고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기술이다. 아직 완벽하지는 않지만, 점점 발전하고 있다.
또한, 일부 기업들은 비트코인을 결제 수단으로 직접 채택하고 있다. 예를 들어, 테슬라는 한때 비트코인을 결제 옵션으로 제공했으며, 일부 온라인 쇼핑몰과 레스토랑에서도 비트코인 결제를 지원하기 시작했다. 엘살바도르는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지정하며 전국적인 채택 실험을 진행중이다.
그러니까 비트코인으로 스타벅스에서 커피를 사는 날이 완전히 불가능 한 것은 아니다. 다만, 아직까지는 조금 더 시간이 필요하다!
🏦 기관 투자자들이 왜 비트코인에 뛰어들까?

옛날에는 비트코인을 "인터넷에서 장난으로 쓰는 돈"정도로 취급했다. 하지만 지금은 다르다. 테슬라, 스트레티지 같은 대기업, 헤지펀드, 연기금, 보험회사까지 기관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을 사들이고 있다.
왜? 이유는 간단하다.
- 높은 수익 가능성: 전통적인 주식보다 훨씬 큰 상승 가능성이 있다.
- 분산 투자 효과: 비트코인은 기존 금융 자산과 상관관계가 낮아서, 포트폴리오에 넣으면 리스크를 줄이는 효과가 있다.
- 인플레이션 헷지: 달러 가치가 떨어지면 비트코인처럼 발행량이 제한된 자산이 더 매력적이 된다.
- 규제 환경 변화: 점점 더 많은 나라들이 비트코인을 법적 투자 자산으로 인정하고 있다.
기관 투자자들이 비트코인을 매입하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대기업들이 투자하면 비트코인의 신뢰도가 높아지고, 시장이 더 안정화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기관 투자자들은 단기적인 트레이딩 보다는 장기적인 전략을 세우기 때문에, 시장이 점점 더 성숙해질 가능성이 크다.
🚀 결론: 비트코인은 점점 더 많이 쓰일 것이다!
비트코인은 아직 초기 단계지만, 점점 더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대기업과 기관 투자자들이 진입하고 있고, 기술들이 계속 발전하면서 비트코인이 단순한 투자 자산을 넘어, 새로운 금융 시스템의 핵심으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비트코인을 "투기성 자산"이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지만, 한편에서는 "미래의 돈"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많다. 앞으로 어떻게 될지는 모르지만, 확실한 건 비트코인이 단순한 유행이 아니라는 것이다!
'주식 > 비트코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트코인, 이번엔 제대로 이해해보자 - Part 5: 비트코인은 어디까지 갈 수 있을까? (0) | 2025.03.23 |
---|---|
비트코인, 이번엔 제대로 이해해보자 - Part 4: 비트코인의 위험과 과제 파헤치기 (1) | 2025.03.22 |
비트코인, 이번엔 제대로 이해해보자 - Part 2: 공급, 수요, 그리고 가치는? (0) | 2025.03.20 |
비트코인, 이번엔 제대로 이해해보자 - Part 1: 대체 뭘까? (0) | 2025.03.20 |
2025년 3월 2일 암호화폐 준비금 발표: 트럼프가 쏘아올린 암호화폐 폭등 (2) | 2025.03.03 |